냉면의 모든 것을 정리했어요
우리나라 냉면은 크게 평양냉면과 함흥냉면 두 계열로 나뉘며, 평양냉면은 물냉면, 함흥냉면은 비빔냉면으로 먹었습니다.그 외에도 지역별로 다양하게 냉면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1. 평양냉면 계열 (북한의 내륙 지역)
- 특징 : 메밀 함량이 높다, 동치미 또는 육수 국물을 쓰고 담백하고 슴슴한 맛
- 대표 지역 : 평양, 개성, 서울, 의정부 등
- 유명 냉면집 : 평양면옥, 을밀대, 필동면옥, 우래옥, 을지면옥, 능라도
(계보)
- 조선시대 : 평양 지역에서 동치미 국물과 메밀면을 사용한 냉면이 탄생
- 일제강점기 (1910~1945년) : 평양조선인면옥조합 결성 (1911년), 서울 등지로 확산
- 해방 후 1940~50년대 : 남한으로 내려온 실향민들이 평양냉면을 전파
- 현재 :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 서울·경기권에서 정통 평양냉면집 성업. 전국적으로 지역마다 신흥강자들이 등장.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2. 함흥냉면 계열 (북한의 동해안 지역)
- 특징 : 감자·고구마 전분을 사용한 쫄깃한 면, 고추장 비빔장 사용, 매콤달콤한 맛
- 대표 지역 : 함흥, 강원도, 부산 등
- 유명 냉면집 : 함흥면옥, 오장동함흥냉면
(계보)
- 조선시대~일제강점기 : 함경도 지역에서 감자·고구마 전분 면과 가자미회 무침을 곁들인 냉면이 발달
- 1950년대 이후 : 한국전쟁 이후 실향민들이 서울·부산 등에서 냉면집 개업
- 현재 : 한국에서 비빔냉면 하면 함흥냉면 스타일이 주류

3. 기타 지역 냉면
- 강원도 막국수: 메밀을 많이 사용한 투박한 면과 양념장 또는 동치미 국물
- 황해도식 냉면 : 면발이 굵고 돼지고기 육수에 간장이나 설탕으로 간을 해서 단맛이 강하게 나는 것이 특징
- 개성 장국냉면: 장국(간장 베이스 육수)과 편육 고명을 얹은 냉면
- 진주냉면: 소고기 육수를 기본으로 한 국물 냉면, 고명으로 육전 사용

하연옥 진주냉면 대표 정운서/하연옥씨
냉면의 고향
평양·평안도
1911년 이미 '평양조선인면옥조합'이 생길 정도로 냉면은 평양의 대중적인 외식이었다.
평양은 물론 평안도 전체가 '냉면의 나라'라는 별칭이 붙을 만큼 냉면은 대중의 일상 음식이었다.
평양냉면은 겨울에 즐겨 먹던 음식이었다. '쨍'한 동치미 국물을 주로 국물로 사용했지만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꿩고기를 이용한 고기육수에 메밀면을 말아낸 냉면도 동시에 존재했다.
'평양조선인면옥조합'은 1911년에 결성된 단체로, 이는 평양 지역에서 냉면이 대중적으로 사랑받았음을 보여줍니다. 당시 평양에는 약 80여 개의 냉면집이 있었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평양조선인면옥조합'이 설립되었습니다. 이 조합은 평양 지역의 면옥(국숫집)들이 모여 결성한 단체로, 냉면 문화의 발전과 보급에 기여했습니다.
평양냉면은 본래 평안도 지역에서 겨울철 별미로 즐기던 음식으로, 메밀로 만든 면과 동치미 국물을 사용하여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져, 한국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평양냉면을 즐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평양냉면과 면옥 문화의 깊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맛있는 하루, ZUM 허브 | 최신 트렌드부터 핫이슈까지, 쉽고 빠른 나만의 백과사전)

함경도
감자나 고구마로 만든 전분 '국수'는 1920년대 함경도의 대중적인 외식이었다.
감자전분 면발에 식초로 삭힌 가자미회를 얹고 고춧가루, 마늘 등 양념한 '회국수'는 1930년대 만들어 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흥남지역에서 회국수를 많이 먹었다. 그러나 지금 북한에서는 국물 없는 회국수보다 국물이 있는 '감자농마국수'를 더 즐겨 먹는다고 한다.

황해도
황해도는 해주와 사리원이 냉면의 중심지였다.
같은 물냉면이지만 황해도 냉면은 평안도보다 면발이 굵고 돼지고기 육수를 많이 사용해 진한 고기맛을 기본으로 하면서 간장과 설탕을 넣어 단맛이 난다.
사리원의 냉면가게들은 대전, 양평 등으로 확산되어,1928년 4월 21일에 70명의 조합원으로 구성된 '면옥노동조합'을 결성할 정도로 크게 성장한다.

서울
서울의 냉면은 몇 번의 전환기를 맞으며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서울의 냉면이 외식으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후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20년대가 되면 서울의 냉면집은 수십 개로 늘어난다. 당시 서울의 냉면은 여름 별식이었다. 그러나 서울식 냉면집들은 분단과 전쟁 이후 대거 내려온 평안도 사람들이 만든 냉면집들에 밀려 사라진다.
6·25 전쟁 이후 평안도 실향민들은 남산 일대와 남대문, 영락교회 주변에 정착한다. 평안도 출신들이 운영하는 평양냉면집들은 재료와 기후 차이 때문에 육수는 평안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했던 동치미 국물 대신 주로 맑은 소고기 육수를 사용하게 된다.
우래옥(02)2265-0151, 평양면옥(장충동)(02)2267-7784, 남포면옥 (02)777-3131, 을지면옥(02)2274-6863, 서북면옥(02)457-8319, 을밀대(02)717-1922, 봉피양 방이점(02)415-5527, 능라(판교)(031)781-3989

함경도 사람들은 중부시장과 청계천 오장동 부근에 자리 잡았다.
1953년에 '오장동함흥냉면'이 본격적으로 영업을 시작하면서 서울에서 함흥냉면의 질긴 역사가 시작된다. 전성기 때는 오장동에만 20여 개의 함흥냉면집이 있었다. 함흥곰보냉면(02)2267-6922, 오장동함흥냉면(02)2267-9500

인천·백령도
인천에는 6·25 전쟁 이전에도 냉면이 성행했다. 1936년에는 인천의 '냉면배달조합'에 관한 기사가 신문에 나올 정도로 냉면은 상당히 보편적인 외식이었다.
6·25 전쟁 당시 황해도 사람들은 백령도로 대거 피란한다. 실향민들이 많이 정착하면서 백령도에는 냉면문화가 꽃핀다. 백령도 냉면이 유명해지자 백령도 출신 사람들이 인천에서 백령도식 냉면을 팔면서 인천에는 백령도식 황해도 냉면이 전성기를 맞는다. 인천의 백령도식 냉면의 가장 큰 특징은 육수에 까나리 액젓을 넣어 진한 단맛이 난다.
부평막국수(032)527-1510, 변가네 옹진냉면(032)875-0410, 사곶냉면(백령도)(032)836-0559

옥천(양평)
옥천은 인천 백령도와 더불어 '황해도식' 혹은 '해주식' 냉면을 먹던 곳이다. 1952년 황해도 출신의 이건협씨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서 '황해냉면'이란 이름을 걸고 시작한 후 현재는 예닐곱 개의 냉면집들이 성행하고 있다. 황해도식 냉면은 면발이 굵고 돼지고기 육수에 간장이나 설탕으로 간을 해서 단맛이 강하게 나는 것이 특징이다.
옥천냉면(구 황해냉면)(031)772-9693, 옥천고읍냉면(031)772-5302

대전
평양에서 냉면집을 운영하던 가문의 후손인 박근성씨가 6·25 때 월남해 평안도 출신 피란민들이 자리 잡은 대전 숯골에서 '숯골원냉면'을 창업한 것이 대전 평양식 냉면의 시작이다. 메밀을 이용한 면발과 닭육수와 동치미를 섞은 육수를 사용한다.
또한 대전에는 빼놓을 수 없는 사리원냉면이 있다. 1950년 6·25전쟁 때 냉면의 고장으로 알려진 북한 황해도 사리원시에서 현재 김래현 대표의 증조모인 김봉득씨가 대전으로 피난 내려와 대흥동에서 창업한 대전 최초의 북한식 정통 평양냉면 전문점이다. 그 외에도 황해도식으로 냉면을 만들어 파는 원미냉면, 판암면옥이 있다. 숯골원냉면 본점(042)861-3288

의정부·동두천
1952년부터 미군 기지가 주둔하면서 의정부·동두천 일대에는 실향민들이 많이 정착하게 된다. 평양 출신 실향민이 1953년에 창업한 동두천 '평남면옥'은 평양 장터의 냉면을 파는 집으로 알려져 있다. 얼음이 가득한 육수는 서울 마포의 '을밀대'와 닮았다.
'의정부 평양면옥'은 1·4 후퇴 때 평양에서 피란 온 홍진권씨가 1970년 경기도 전곡에서 냉면집을 창업했다가 1987년 의정부로 옮겨 지금까지 영업하고 있다. 서울의 '필동면옥'과 '을지면옥'이 홍씨의 딸들이 운영하는 집들이다.
양지머리를 삶아 기름을 걷어낸 후 차게 숙성시킨 육수에 약간의 동치미 국물을 더하고 고명으로 고춧가루를 뿌리는 것이 의정부 평양면옥 계열 냉면집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평남면옥(031)865-2413, 의정부평양면옥(031)877-2282

평택
전쟁 중인 1951년에 피란민 수용소와 미군 기지가 평택에 들어섰다. 전쟁이 끝나고 평안도·황해도 출신 실향민들이 정착하면서 평양식 냉면이 자리 잡는다. 평남 강서에서 냉면가게를 운영하던 실향민이 1953년 '강서면옥'을 시작한다. 강서면옥은 1958년 서울로 이전했다. 1930년대 평안북도 강계에서 '중앙면옥'을 운영하던 고학성씨의 아들이 1974년 '고박사냉면'을 개업한다.
강서면옥과 고박사냉면은 모두 양지머리와 사태살을 삶아낸 육수를 기름을 제거해 맑게 한 후 동치미 국물을 섞고 간장을 살짝 쳐 엷은 갈색이 도는 육수를 만든다. 고복례냉면(구 고박사냉면)(031)655-4252 강서면옥(서울)(02)752-1945

대구
1951년 평양 실향민이 창업한 '강산면옥'이 대구 최초의 평양식 냉면집이다. 1960년대 중후반 평양 냉면집 '안면옥' 창업주의 아들이 '대동면옥'을, 1969년에는 '부산안면옥'이 부산에서 옮겨오면서 냉면이 대구에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다.
'안면옥'은 지금까지 기록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냉면집이자 그 가족들이 운영하는 최고로 긴 역사를 가진 식당이다.
소고기 양지를 중심으로 끓여낸 맑은 육수에 간장으로 단맛을 더하고 식초를 조금 쳐 동치미같이 신맛이 약간 감도는 맛을 내는 것이 대구식 평양냉면의 특징이다. 대동면옥(053)255-4450, 부산안면옥(053)424-9389

풍기(영주)
경북의 내륙 풍기는 경상북도에서 실향민이 가장 많이 정착한 곳이다. 휴전 이후 풍기에 모여든 실향민들은 견직물 사업으로 큰 성공을 거둔다. 덩달아 평양식 냉면집들도 장사가 잘됐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견직업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냉면집들도 대부분 문을 닫았다. 지금 풍기를 대표하는 '서부냉면'은 평북 운산 출신의 창업주가 1973년에 문을 연 집이다.
평안도에서 육수로 자주 사용하던 꿩과 돼지고기 국물을 경상도 사람들이 싫어한 탓에 지금 같은 소고기 육수가 만들어졌다. 서부냉면(054)636-2457

속초
함경도 출신의 실향민들은 1951년 이후 고향과 가장 가까운 속초로 모여들었다. 바닷가 모래사장이던 청호동과 건너편인 중앙동, 금호동에 피란민들이 둥지를 틀었다.
현재 남한에서 가장 오래된 함흥냉면집으로 알려진 함흥 출신이 세운 '함흥냉면옥'은 1951년 중앙동에 자리를 잡고 영업을 시작했다. 함흥냉면옥은 '속초식' 함흥냉면을 만들어냈다.
고향과 다른 환경과 재료 때문에 면의 주재료였던 감자 전분이 고구마 전분으로 변했고, 냉면의 성격을 결정하는 꾸미가 가자미회에서 명태회로 바뀌었다.
함흥냉면옥(033)633-2256, 양반댁(033)636-9999, 단천식당(033)632-7828, 대포함흥면옥(033)632-6688

부산
함경도 실향민의 대량 이주로 시작된 부산의 냉면 문화는 특이한 양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부산의 번성했던 면(麵) 문화가 함경도의 회국수 문화와 만나 '밀면'이라는 새로운 면 문화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1954년 부산 남구 우암동에 흥남철수 당시 남쪽으로 내려온 실향민들의 대규모 피란촌이 형성된다. 함경도 내호에서 냉면집을 하던 실향민이 고향 이름을 따 1954년에 '내호냉면'을 개업한다.
실향민들을 대상으로 한 냉면집이었지만 고향과 다른 기후와 재료 때문에 밀가루 70%에 고구마 전분 30%를 섞은 밀면을 만들어 낸 것은 1959년의 일이다.
밀면은 초기에는 '밀냉면', '부산냉면', '경상도냉면'으로 불렸을 만큼 냉면의 영향이 강했다.
내호냉면(051)635-2295, 시민냉면(051)895-8726, 개금밀면(051)892-3466

진주·사천
진주냉면은 19세기 말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60년대 중반까지는 옥봉동을 중심으로 '은하식당', '평화식당' 같은 냉면집이 6~7개 있었지만 60년대 말에 거의 맥이 끊긴다. 그런데 최근 진주냉면이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새롭게 각광받는 진주냉면은 해물 육수를 기본으로 소고기 육전을 꾸미로 올리고 메밀에 고구마 전분을 섞은 면을 사용한다. 진주 바로 밑 사천에는 전국에서 가장 큰 냉면집인 '재건냉면'이 있다. 1948년 일본에서 귀국한 창업주가 만든 냉면집이다. 이곳에는 돼지고기 육전이 꾸미로 올라간다. 하연옥(055)746-0525, 재건냉면(055)852-2132

일본 모리오카
모리오카 냉면은 1954년, 재일한국인 1세인 양용철(梁容澈) 씨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서 개발하였다.
함흥냉면과 유사하며 감자·고구마 전분을 사용한 쫄깃한 면발로 일본 전역에 인기를 끌고 있다. 소고기 육수에 매콤한 김치가 들어가는데 이는 한국식과 일본식을 함께 적용하였으며 고명으로 수박이나 배를 얹는 경우도 있다. 모리오카 냉면을 주제로 대중가요도 나왔다. 지금은 일본 최대의 번화가 도쿄 긴자에 점심시간마다 회사원들이 한 시간씩 줄을 서야만 먹을 수 있다는 냉면 가게가 있다. 바로 ‘뿅뿅사’다. 다소 독특한 어감의 가게 이름은 이곳 사장의 성에서 따온 것으로,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재일 동포 2세 변용웅(66) 사장이다. 양용철씨의 모리오카 냉면을 이어받았다.
"평양냉면 명월관" (양용철 씨가 창업), "고쿠안(ぴょんぴょん舎)" , "뿅뿅사"

도쿄에 성행중인 모리오카냉면 전문점 "뿅뿅사" 대표 변용웅씨

여름에도, 겨울에도 냉면은 사랑이다.
한 줄기 메밀면이 국물 속에서 춤을 추고,
맑고 깊은 육수가 그리운 맛을 품는다.
매콤한 양념이 입안을 감싸고,
새콤한 식초 한 방울이 추억을 깨운다.
차가운 그릇 속에 담긴 따뜻한 이야기,
한 젓가락에 담긴 역사의 향기.
냉면 한 그릇, 그 안에 계절과 시간이 흐른다.

'먹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면은 우리나라의 자랑. 그럼 일본냉면은 뭐야? (0) | 2025.03.28 |
---|